주석 보며 성경 읽기/10 사무엘 하

사무엘 하 15장 13절-23절, 주석과 해설 정리

Eloheinu 2022. 10. 10. 11:58

사무엘 하 15장 13절부터 23절까지의 말씀은, 반역을 준비한 압살롬이 드디어 왕이라고 선언한 장면입니다. 압살롬의 반역과 이스라엘 백성들의 마음이 그에게 쏠리자, 다윗은 예루살렘을 떠나 광야길로 도망을 가게 됩니다. 반역과 도망의 아픔이 기록되어 있는 본문을 통독하고 주석과 해설을 보며 큐티합니다.

 

사무엘 하 15장 13절-23절, 주석과 해설 정리
사무엘 하 15장 13절-23절, 주석과 해설 정리

 

 

사무엘 하 15장 13절-23절, 주석과 해설 정리

 

 

사무엘 하 15장 13절

 

전령이 다윗에게 와서 말하되 이스라엘의 인심이 다 압살롬에게로 돌아갔나이다 한지라

 

이스라엘의 인심이 … 돌아갔나이다

이 말은 문맥상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1) 백성들이 이제 압살롬을 왕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뜻이다(Keil). (2) 백성들이 이제 이익을 위해 압살롬의 편에 붙었다는 뜻이다(Lange).

 

 

사무엘 하 15장 14절

 

다윗이 예루살렘에 함께 있는 그의 모든 신하들에게 이르되 일어나 도망하자 그렇지 아니하면 우리 중 한 사람도 압살롬에게서 피하지 못하리라 빨리 가자 두렵건대 그가 우리를 급히 따라와 우리를 해하고 칼날로 성읍을 칠까 하노라

 

일어나 도망하자

다윗이 압살롬의 반역 소식을 듣자마자 이처럼 즉각적으로 피신하려 한 것은 아마 나단 선지자가 그에게 예언했던 재앙(12:10, 11)을 의식했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다윗은 자신으로 인해 하나님의 도성(都城) 예루살렘이 전화(戰火)에 휘말리는 것을 원치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다윗이 이처럼 예루살렘을 떠나 피신 길에 오르면서도 궁을 지키도록 후궁 10명을 남겨둔 것(16절)은, 하나님께서 자신으로 하여금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하실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우리 중 한 사람도 … 피하지 못하리라

다윗은 2년 동안이나 벼르다가 결국 암논을 살해한 압살롬의 강한 복수심을 기억하고 있었을 것이다(13:23-29). 따라서 이번에도 2 년 동안의 연금(軟禁) 상태(14:28)를 비롯하여 다윗과 여러 가지로 불편한 관계에 있었던 압살롬(13:20, 21, 31, 14:24)이 잔인한 복수극을 펼칠 것으로 충분히 예상했을 것이다(Lange, Keil & Delitzsch, The Interpreter’s Bible). 따라서 다윗은 피난길을 재촉하였는데, 이때 다윗 왕과 더불어 예루살렘을 탈출한 사람은 그의 호위병과 6백 명의 병사들 그리고 많은 대신(大臣)과 백성들이었다(17절).

 

 

사무엘 하 15장 15절

 

왕의 신하들이 왕께 이르되 우리 주 왕께서 하고자 하시는 대로 우리가 행하리이다 보소서 당신의 종들이니이다 하더라

 

 

사무엘 하 15장 16절

 

왕이 나갈 때에 그의 가족을 다 따르게 하고 후궁 열 명을 왕이 남겨 두어 왕궁을 지키게 하니라

 

가족을 다 따르게 하고 후궁 열 명을 남겨 두어

다윗 왕은 자기에게 앙심을 품은 압살롬이 자기의 이복형제들과 왕비들까지 모두 살해할 것을 염려하여 이들 모두는 피난길에 함께 데리고 갔을 것이다. 그러나 후궁(後宮) 열 명은 죽을 염려가 없다고 판단하였기에 궁을 지키게 하였을 것이다(Hertzberg). 하지만 다윗 왕의 이러한 조치는 결과적으로 나단 선지자의 예언을 성취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12:11, 16:20-22). 즉 하나님께서는 인간의 생각까지도 친히 주장하사, 한번 선고한 죄악의 징벌을 온전히 성취하신 것이다.

 

 

사무엘 하 15장 17절

 

왕이 나가매 모든 백성이 다 따라서 벧메르학에 이르러 멈추어 서니

 

모든 백성이 다 따라서

여기서 모든 백성이란 다윗 왕을 따라 나온 예루살렘 성내의 모든 사람들, 곧 왕의 가족들과 그의 신하들 및 성내 주민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벧메르학

‘벧메르학’은 ‘먼 집’, 또는 ‘먼 궁’이란 뜻이다. 이는 동네의 고유한 이름이 아니라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가는 길목에 있던 다윗의 별궁(別宮)이었던 것 같다. 학자들은 이 별궁이 다윗 성(5:9) 동편 기드론 시내를 넘기 전에 위치한 것으로 추측한다(Keil, Lange, Pulpit Commentary). 이렇게 볼 때, 다윗과 그 추종자들은 기드론 시내를 넘기 전에 이 별궁에서 안전한 탈출을 위한 준비를 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제 이와 관련 본 절에서부터 언급되는 다윗의 도피 경로는 다음과 같다. (1) 예루살렘 벧메르학에서 감람 산 길로 진행함(18, 30절). (2) 감람 산 부근의 바후림에 이름(16:5). (3) 요단 강을 건너 마하나임에 당도함(18:5). (4) 에브라함 수풀에서 압살롬 군과 격돌함(18:6-8).

 

 

사무엘 하 15장 18절

 

그의 모든 신하들이 그의 곁으로 지나가고 모든 그렛 사람과 모든 블렛 사람과 및 왕을 따라 가드에서 온 모든 가드 사람 육백 명이 왕 앞으로 행진하니라

 

모든 그렛 사람과 모든 블렛 사람

여기서 그렛과 블렛은 다윗 왕의 시위병(侍衛兵)들을 의미한다. 이 중 그렛은 왕명을 따라 중죄인을 처벌하는 사형집행 기관의 병사들이며, 블렛은 왕의 보발꾼(步撥軍)들이다. 8:18 주석 참조.

 

왕을 따라 가드에서 온 … 육백 명

우리는 이들을 다윗 왕이 블레셋의 수도인 가드를 점령했을 때(8:1) 포로로 잡아온 병사들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 왜냐하면 다윗 왕이 대적의 포로들로 자기의 근위대(近衛隊)를 조직했다는 것은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드에서 온 육백 명’이란 다윗이 사울 왕으로부터 핍박을 받던 시절에 그의 도피처였던 블레셋의 가드에서부터 충실히 다윗 왕을 추종했던 용사들인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이들은 가드에서부터(삼상 27:2) 시글락(삼상 27:6, 30:1), 헤브론(2:3)을 거쳐 예루살렘에 이르기까지(5:6) 다윗 왕을 보필하는 데 초지일관(初志一貫)한 신실한 용사들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예루살렘에서 왕의 근위대로 임명되어, 지금은 다윗을 경호하고 있는 것이다(Wycliffe, Keil & Delitzsch).

 

 

사무엘 하 15장 19절

 

그때에 왕이 가드 사람 잇대에게 이르되 어찌하여 너도 우리와 함께 가느냐 너는 쫓겨난 나그네이니 돌아가서 왕과 함께 네 곳에 있으라

 

가드 사람 잇대

여기서 ‘가드 사람’이란 말은 ‘블레셋의 가드에서 망명하여 온 사람’이란 뜻이다. 즉, 지금 다윗 왕을 따르고 있는 잇대는 그의 고향에서 어떠한 큰 문제를 일으키게 되자 자의(自意) 또는 타의에 의해서 본국을 떠나 다윗에게로 망명하여 온 용사였다. 그런데 그는 그의 본국에서 대단히 용맹을 떨쳤던 큰 용사였기 때문에 다윗 왕은 그의 무용(武勇)과 지위를 인정하여 자신의 군대 장관 중 한 명으로(18:1, 2) 임용하였다(Keil, Eward, The Interpreter’s Bible). 잇대는 얼마 후에 요압과 아비새와 동등한 위치에서, 반란군을 진압하는 다윗 군의 지휘자가 되어 크게 활약하였다.

 

너는 쫓겨난 나그네이니

여기서 ‘쫓겨난 나그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골레’는 비단 포로(스 1:11, 10:8, 렘 28:6, 겔 1:1, 3:11) 뿐 아니라 이주민, 또는 망명자, 추방자까지도 의미하는 단어이다(대상 5:22, 스 4:1, 렘 29:16, 겔 12:7, 왕하 24:14, 25:11). 그런데 다음과 같은 점에 의거할 때 여기서는 후자 곧 망명자, 추방자를 의미함이 분명하다. (1) 잇대는 혈혈단신으로 다윗 왕에게 온 것이 아니라 자신의 온 가족과 시종들까지 거느리고 왔기 때문이다(22절). 즉, 만일 잇대가 포로나 인질로 예루살렘에 끌려왔다면 혼자서 왔을 것이나, 그가 많은 사람들을 거느리고 온 점으로 보아 그는 포로가 아니라 망명자인 것이다. (2) 잇대는 가드 사람으로서 다윗 왕의 측근이 되었으며, 심지어 다윗 군의 사령관으로 활약하였기 때문이다(18:1, 2). 이와 같은 사실은 그가 단순한 포로가 아니라 정치적인 이유로 망명한 용사임을 증거해 준다. 왜냐하면 다윗 왕이 적군의 포로를 자기 곁에 두거나 군대의 사령관으로 삼았을 리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로 보아, 잇대는 다윗 왕의 전쟁 포로가 아니라(Thenius), 분명히 정치적으로 망명한 사람임을 알 수 있다(Keil, Pulpit Commentary, The Interpreter’s Bible).

 

왕과 함께 네 곳에 있으라

여기서 ‘왕’은 현재 헤브론에서 반란을 일으켜 이스라엘의 왕을 자처하고 있는 압살롬을 가리킨다(10-12절). 따라서 본 절은 다윗 왕이 진퇴양난(進退兩難)의 곤경에 빠져 있으면서도 한 사람의 무고한 외국인을 깊이 생각하고 하는 말임을 알 수 있다. 즉, 잇대는 본토 사람이 아니라 외국인이기 때문에 공연히 타국의 정치적 내란으로 인해 목숨을 내걸 필요가 없다고 다윗 왕은 말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러한 다윗 왕의 처신을 통해 자신의 곤경 중에도 한 사람의 난감한 처지를 이해하여 주는 그의 깊은 사려(思慮)와, 용사의 힘을 의지하려는 인간적인 도모보다는 하나님을 의지하여 난국을 타개하려는 그의 대담한 신앙을 발견할 수 있다. 한편, 다윗은 압살롬을 가리켜 굳이 ‘왕’이라 부를 필요가 없었다. 그런데도 본 절에서는 그를 왕으로 칭하고 있는데, 아마도 다윗이 압살롬을 진정 왕으로 인정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다만 잇대의 입장을 고려하여 그렇게 칭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즉 압살롬이 반란에 성공할 경우, 외국인인 잇대는 현재 이스라엘에 망명한 정치적 망명자이므로 압살롬을 왕으로 섬겨야만 하는 것이다(Keil, Lange).

 

 

사무엘 하 15장 20절

 

너는 어제 왔고 나는 정처 없이 가니 오늘 어찌 너를 우리와 함께 떠돌아다니게 하리오 너도 돌아가고 네 동포들도 데려가라 은혜와 진리가 너와 함께 있기를 원하노라 하니라

 

너는 어제 왔고

여기서 ‘어제’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트몰’은 반드시 문자적으로 어제만을 의미하지 않고, 가까운 과거 곧 얼마 전을 의미하기도 한다(창 31:2, 5, 출 5:7, 8, 14, 신 4:42, 수 3:4, 룻 2:11, 욥 8:9).

 

은혜와 진리가 너와 함께 있기를

잇대의 앞날에 대한 다윗 왕의 축원(祝願)인 이 말에 대해, 혹자는 부사적으로 해석하여 ‘은혜롭고 진실되게 너와 함께 네 동포들도 데려가라’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한다(Maurer). 그러나 여기서 ‘은혜와 진리’라는 말은 하나님의 약속과 밀접하게 관련된 말이다. 즉 구약의 모든 용례들을 살펴볼 때, 이 용어들은 거의 모두 하나님의 언약적인 사랑(은혜)과 신실성(진리)을 의미하는 것들이다(출 34:6, 시 25:10, 40:10, 11, 57:3, 61:7, 잠 3:3, 14:22, 16:6). 따라서 이 말은 하나님의 은혜와 진리, 곧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들에게 약속하셨던 것과 같은 언약의 축복들이 너에게도 함께 하기를 원한다는 다윗 왕의 신앙적인 축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Keil, Vulgate, LXX). 2:6 주석 참조.

 

 

사무엘 하 15장 21절

 

잇대가 왕께 대답하여 이르되 여호와의 살아 계심과 내 주 왕의 살아 계심으로 맹세하옵나니 진실로 내 주 왕께서 어느 곳에 계시든지 사나 죽으나 종도 그곳에 있겠나이다 하니

 

여호와의 살아 계심과 … 맹세하옵나니

이 말은 잇대가 다윗 왕에게 망명한 후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믿게 되었음을 보여 준다. 즉 이는 이제 잇대가 블레셋의 우상 종교를 버리고 여호와의 종교로 개종(改宗)했음을 시사해 준다.

 

어느 곳에 계시든지 … 그곳에 있겠나이다

다윗 왕의 깊은 배려에 대한 잇대의 충성스러운 대답이다. 이러한 잇대의 결심은 다윗 왕의 신앙 인격에 매료된 나머지 자기의 목숨까지라도 아끼지 않겠다는 감동적인 것이었다. 이처럼 다윗 왕은 한때 스스로 죄악에 빠지고(11장) 자녀 교육을 제대로 시행치 못하는(13:21)등 인간적 잘못을 보이긴 하였지만, 근본적으로 이방인의 마음까지도 감동시킬 수 있는 순수한 신앙 인격의 소유자였다. 따라서 다윗은 그러한 신앙 인격으로 말미암아 한 충성스런 용사를 얻을 수 있었고, 후일 왕권 회복에 있어서 큰 도움을 받기까지 하였다(18:2). 이처럼 바른 인격과 참된 신앙의 소유자는 이웃에게 감화를 끼칠 수밖에 없다(마 5:14-16, 고후 2:15).

 

 

사무엘 하 15장 22절

 

다윗이 잇대에게 이르되 앞서 건너가라 하매 가드 사람 잇대와 그의 수행자들과 그와 함께 한 아이들이 다 건너가고

 

그와 함께 한 아이들

여기서 ‘아이들’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타프’는 본래 (1) 어린이, 유아들을 의미하나 (2) 딸린 식구들, 처자들을 의미하기도 한다(출 12:37, 창 47:12). 그런데 여기서의 의미는 후자로서, 이 말은 잇대에게 속한 식구들, 곧 그의 모든 처자(妻子)들을 가리킨다(Keil, Lange).

 

 

사무엘 하 15장 23절

 

온 땅 사람이 큰 소리로 울며 모든 백성이 앞서 건너가매 왕도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니 건너간 모든 백성이 광야 길로 향하니라

 

온 땅 사람이 큰 소리로 울며

여기서 ‘온 땅 사람’이란 17절의 ‘모든 백성’과는 의미가 다른 말로, 다윗 일행이 피난 중 거쳐 지나간 지방의 모든 주민들을 의미한다.

 

기드론 시내

예루살렘과 감람 산 사이에 잇는 깊은 골짜기로서, 강우량이 많은 겨울에는 물이 흐르지만 건기인 여름에는 메말라 있는 간헐천(間歇泉)이다. 이곳은 예루살렘 동편의 여호사밧 골짜기(욜 3:2)에 위치해 있다. 위클리프(Wycliffe)에 의하면 오늘날에도 예루살렘에서 요단 계곡이나 여리고 방면으로 여행하는 자들은 이 기드론 시내를 건너 감람 산 비탈길을 넘는 길을 애용한다고 한다.

 

광야 길

예루살렘 북쪽 벧엘에서 여리고에 이르는 유다 광야의 길이다. 다윗 왕은 이 길을 거쳐 요단 강을 건너 마하나임으로 가고자 했다.